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 (주)포스트구조기술

사업분야
HOME > 사업분야 > 내진성능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포스트구조기술은 건축/토목 구조기술자들의 기술력과 경험으로 최상의 기술력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내진성능평가

MIDAS Gen. Seismic Performance Evalution, PERFORM 3D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구조물의 동적거동 특성을 파악하고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관련법규

지진화산재해대책법 제14~16조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 12조 3항
국토교통부 공고 제2014-1308호(건축물의 구조기준 등)

주요분야

학교시설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교육부) 적용

건축물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교육부) 적용

업무절차

성능평가를 위한 현장조사 방법

  • 1

    현장 답사를 통한 구조물의 현황조사를 실시.

  • 2

    건물유지관리 담당자로부터 준공도서 수령과 하자현황 청취.

  • 3

    2)항의 관련도서를 바탕으로 청취 내용을 포함한 각 부재의 균열 및 누수, 보수, 보강 현황을 파악.

  • 4

    관련도서를 바탕으로 주요 구조 부재의 프레임 위치 및 대상 부재의 단면치수를 측정.

  • 5

    비파괴 장치로 구조부재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조사한다.

  • 6

    주요 구조부재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조사한다.

  • 7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중성화 깊이를 조사한다.(필요시)

  • 8

    데오도라이트를 이용하여 건물의 수평변위를 조사한다.

  • 9

    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건물에 대한 단계별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하여 필요시 보수·보강 안을 제시하며, 현 건물의 요구 성능을 만족하도록 한다.

내진 성능 수준

성능수준 피해
즉시거주
(Immediate Occupancy Level, IO)
지진 후 구조물의 피해는 경미하며 수직하중저항시스템과 지진력저항시스템은 지진 전의 강성과 강도를 보유하고 있다.
구조부재의 손상으로 인명에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손상부재에 대한 보수가 필요하지만 즉시거주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인명안전
(Life Safety Level, LS)
구조부재에 상당한 손상이 발생하여 횡강성과 강도의 손실이 있으나 붕괴에 대해서는 여전히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
구조부재에 영구변형이 있으며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일부 요소에서 균열, 파단, 항복, 혹은 좌굴이 발생할 수 있으나 구조부재의 손상으로 인명손신의 위험은 낮다.
구조부재의 보수는 가능하지만 경제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당장 무너지지는 않으나 거주를 위해서는 보수와 보강이 요구된다.
붕괴방지
(Collapse Prevention Level, CP)
구조물이 심각한 피해를 입은 상태로 국부적 혹은 전체적인 붕괴가 임박한 상태이다. 지진력저항시스템에 상당한 강도 및 강성의 저하가 있으며 횡방향 영구변형이 있다.
그러나 중력하중저항시스템은 여전히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구조부재의 박락 등으로 인명피해가 생길 수 있으며 일반적인 보수보강 후에도 거주에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여진으로 인해 붕괴가 발생 할 수 있다.

내진 성능 목표

건출물의 성능수준 건출물의 성능수준 비구조요소의 성능수준
기능수행 거주가능 기능수행
즉시복구 거주가능 위치유지
인명보호 인명안전 인명안전
붕괴방지 붕괴방지 -
내진등급 성능목표 설계지진
재현주기 성능수준
2400년 인명보호 기본설계지진 × 중요도계수(IE)
1000년 기능수행 -
2400년 붕괴방지 -
1400년 인명보호 기본설계지진 × 중요도계수(IE)
2400년 붕괴방지 -
1000년 인명보호 기본설계지진 × 중요도계수(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