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안전진단
정기적으로 시설물의 물리적, 기능적 결함과 내재된 위험요인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조치방안 등을 제시하여 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이러한 안전진단은 구조설계의 경험이 있는 구조기술자가 직접 수행하여 올바른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관련법규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 건축물관리법
- 건축법
-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
주요분야
정밀안전진단
시설물 안전법에 따라 정밀안전진단 및 정기안전점검
시설물정보종합관리시스템(FMS)에 등록하여 건축물에 노후화 대비와 경제성 확보, 안전사고 방지를 할 수 있습니다.
주요 구조부에 관찰점검과 효율적인 보수,보강공법을 제시해드립니다.
-
1. 자료수집
-
2. 육안조사
-
3. 비파괴 실험
-
4. 안전성 평가
-
5. 유지관리
재건축, 철거 점검
건축법, 건축물관리법에 따라 재건축, 리모델링, 철거대상에 안전진단
건축물의 시간경과에 따른 노후화 대비와 사용성과 경제성을 위해서는 life cycle을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수 있습니다.
시설물도 살아 숨쉬는 생명체와 같습니다.
시간경과에 따른 주요 구조부재의
노후화 발생에 항상 대비하여야 합니다.
시설물 유지관리 계획 수립 및 실행
FMS 란?
1종·2종(3종포함) 시설물의 정보관리 및 보수·보강과 관련된 DB를 구축(입력)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토교통부의 웹사이트를 뜻합니다.
- 1
유지관리계획서 작성
- 2
시설물의 장기적 보수·보강 계획 수립
- 3
관리주체 One Stop Service 구현